안구건조증 증상, 해결방법

안구건조증

눈이 자꾸 시리고, 자꾸 깜빡이게 되고, 저녁이 될수록 눈이 뻑뻑해지는 느낌.

예전엔 별로 신경 쓰이지 않았던 안구 건조였는데요,
요즘에는 증상이 반복되다 보니 생활하는데 불편하기 시작하더라고요.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오래 보면 유독 더 심해지죠.

렌즈를 낀 날이면 오후쯤부터는 눈이 화끈거리고, 시야도 뿌예져서 운전할 때도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당뇨하고 연관이 있을 수도 있기에 요번에 안구건조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안구건조증 뭔지 알고계신가요?

안구건조증은 그냥 눈이 마르는 게 아니라, 눈물이 부족하거나 너무 빨리 증발해서 눈 표면이 손상되는 것입니다.

안구건조증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고, 저처럼 초기에 가볍게 넘기다가 만성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안구건조증 증상은 크게 몇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 눈이 따갑고 시리다
  •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이물감이 있다
  • 눈이 쉽게 피곤하고, 시야가 흐려졌다가 깜빡이면 다시 맑아진다
  • 심지어 눈물이 자꾸 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부족한 눈을 보호하려는 반사작용이랍니다
안구건조증 안경
안구건조증 안경

보통 이 중에서 뻑뻑함과 시야 흐림, 눈물 과다가 가장 많이들 불편해 합니다.

눈이 울먹이는 느낌인데 이상하게 마르니까, 감정 표현도 아닌데 눈이 번들거리는 게 좀 어색하기도 합니다.

병원에서는 이러한 증상을 마이봄샘 기능 저하(MGD)와 눈물층의 불안정성 이라고 합니다.

눈꺼풀에서 나오는 기름 성분이 부족해서 눈물이 너무 빨리 날아가 버린다는 거죠.

이러한 안구건조증 증상은
약물치료 외에도 생활 습관을 꼭 바꾸는게 중요합니다.

안구건조증 생활 습관 중 지금 실천 중인 방법들입니다

  1.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하루 5~6회 사용 (냉장고 보관 중)
  2. 하루 1~2번 눈꺼풀 온찜질, 5분 이상 유지
  3. 스마트폰은 20분 이상 연속 사용하지 않기 (20-20-20법칙 활용)
  4. 사무실에서는 가습기, 책상용 미스트기 사용
  5. 콘택트렌즈는 꼭 일회용으로, 착용 시간도 줄임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밤에 스마트폰을 안 보는게 가장 좋습니다.

잘 때 눈이 회복돼야 하는데, 자기 직전까지 밝은 화면을 보면 눈이 쉬질 못한다고 하더라고요.
그 말 듣고 나서는 취침 1시간 전엔 핸드폰 아예 멀리 둡니다.

인공눈물 사용도 좋습니다.

요즘엔 인공눈물 제품도 다양해서, 어떤 걸 써야 할지 고민되기도 했습니다.

약국에서는 일반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추천해줬고, 안과에서는 고점도 제품을 수면 전용으로 따로 쓰라고 합니다.

실제로 고점도 젤 타입은 잘 때 쓰면 아침까지 눈이 편하더라고요.
반대로 낮에는 점도가 낮은 인공눈물이 더 깔끔했어요.

안구건조증 인공눈물
안구건조증 인공눈물

또 하나 바꾼 건 식단입니다.

눈물막을 유지하려면 오메가3가 풍부한 식품을 꾸준히 먹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해서, 아마씨유를 매일 아침에 한 스푼씩 먹기 시작했어요.

참치, 연어, 견과류도 의식적으로 챙기게 되더라고요. 눈 영양제도 루테인보다는 오메가3 위주로 바꿨습니다.

눈 건강은 생각보다 빨리 악화되고, 회복에는 시간이 걸립니다.
특히 건조함은 방치할수록 각막 손상,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서, 조기에 관리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걸 몸으로 느꼈습니다.

혹시 요즘 눈이 자꾸 불편하시다면, 그냥 넘기지 마시고 꼭 인공눈물부터 시작해보세요.

제품도 요즘은 무방부제에 저점도, 고점도 다양하게 나와 있어서 맞는 걸 고르기만 해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