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면역에 좋다, 눈에 좋다, 장에 좋다… 이렇게 다양한 기능성을 내세운 제품들이 건강기능식품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죠.
그런데 이 건강기능식품, 과연 어떤 기준으로 나뉘고 있을까요?
일반식품과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오늘은 식약처 기준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이란? – 일반식품과의 차이점부터
우선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기능성 원료를 사용해 식약처가 인정한 제품’을 의미합니다.
반면, 일반식품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는 있어도 ‘기능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없고, 기능을 인증받지도 않습니다.
예를 들어, 홍삼 농축액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지만, 홍삼차는 일반식품입니다.
따라서 ‘면역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같은 문구는 오직 건강기능식품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그 외 일반 식품에서는 효능, 효과를 말할 수 없습니다.

건강기능식품 분류 기준 – 3가지 구분
건강기능식품은 식약처에서 아래 세 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식약처가 정해놓은 기능성과 원료 기준에 따라 만든 제품
대표 예시: 홍삼, 비타민C, 오메가3, 루테인, 프로바이오틱스
이미 기능성과 안정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원료만 사용합니다.
대부분 시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업이 직접 연구와 실험을 통해 ‘기능성과 안전성’을 입증하고, 식약처에 개별 인정 신청을 한 후 승인을 받은 제품
고시형에는 없는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특정 유산균,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기능성 펩타이드 등
경쟁력 있는 브랜드나 신소재 제품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유형입니다.
기타 기준형
고시형과 개별인정형의 중간 단계로, 식약처가 정한 범위 내에서 다소 융통성 있게 인정하는 경우입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직접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기능성 인정 과정에서는 명확히 나뉩니다.
기능성 원료의 차이 – 고시형 vs 개별인정형
고시형 원료는 이미 식약처가 인정한 원료이므로,
제조사들은 정해진 함량과 조건만 맞추면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반면, 개별인정형은 기업이 임상시험을 직접 진행해야 하므로 개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듭니다.
그만큼 희소성과 차별성이 있으며, 신제품 경쟁에서 중요한 전략이 되기도 합니다.
건강기능식품 표시 확인 방법
제품 겉면에 ‘건강기능식품’ 마크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기능성 표시’가 적혀 있어야 하며, 기능성 내용도 함께 표기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능성 원료명, 기능성 내용, 1일 섭취량’ 등은 의무 표기사항입니다.
믿을 수 있는 제품은 반드시 이 정보들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을 고를 때 꼭 알아두세요
건강기능식품은 법적으로 인정받은 기능성 원료를 기준으로 나뉩니다.
‘이건 그냥 홍삼인가? 건강기능식품인가?’ 궁금할 땐, 마크 확인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 본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고,
복용법을 정확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에는 기능성별 건강기능식품 종류를 부위별로 나눠서도 정리해보겠습니다.